“한강수계위, 물이용 부담금 요율 인하 웬말”

서울인천시의 물이용 부담금 납입정지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한강수계관리위원회의 2014년 물이용 부담금의 요율 인하 움직임에 상류 주민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2일 특별대책지역 수질보전정책협의회 주민대표단(공동위원장 이면유이명환)에 따르면 이들 10여명은 지난달 31일 이필재 한강유역환경청장을 방문, 한강수계위 실무회의에 부담금 요율 인하 안건을 상정하지 말 것을 촉구했다. 특수협의 이날 한강청 방문은 한강수계위가 오는 5일로 예정돼 있는 실무회의에 현행 t당 170원인 물이용 부담금을 160원으로 인하하는 방안을 상정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데 따른 것으로 특수협은 오는 5일 한강유역환경청 정문에 집회시위를 신청, 실무회의에서 물이용 부담금 상정 자체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방침이다. 특수협 측은 물이용 부담금으로 환경기초시설을 운영하고 있는데 부담금을 인하하겠다는 것은 맑은 물 보전을 위한 노력을 하지 않겠다는 의미라며 상하류 공존 공생의 이념을 바탕으로 최초 한강법 제정 당시 물이용 부담금으로 각종 주민지원 사업을 하기로 합의했음에도 매년 주민지원 사업비가 줄어드는 등 상류지역 고통만 가중시키고 있다고 환경부와 한강청의 최근 정책을 비판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면유이명환 공동위원장은 훈령 기관이던 특수협을 법적 기관으로 승격시키고도 환경부가 특수협의 존재를 제대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필재 청장은 주민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안에 대해서는 특수협과 사전에 논의하도록 하겠다면서 다만 업무 절차상 어느 시점에 공개하고 협의해야 하는 지에 대해서는 실무진과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농·특산물 공동브랜드 ‘자연채’ 광주시, 19개 단체에 상표 사용승인서 교부

광주시는 조억동 시장을 비롯한 19개 농특산물 생산자단체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광주시 농특산물 브랜드인 자연채 상표 사용승인서 교부식을 열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상표사용 승인서 교부대상은 청아랑영농조합(느타리버섯), 도척버섯작목반(느타리표고버섯), 건강나라농원(새싹채소), 광주지구 축산업협동조합(한우), 다한 영농조합(계란), 대농바이오 영농조합(새싹채소), 쌀연구회 친환경작목반(친환경 쌀), 참농원(콩나물), 선농산(느타리버섯), 정지2리 채소작목반(토마토), 사관작목반(토마토 외 13종), 삼성유기농 영농조합(미나리 외 15종), 영농조합 은화(상추 외 39종), 초월버섯작목반(느타리버섯), 지산영농조합(느타리버섯), 물푸레(콩나물), 도수채소작목반(토마토), 초월친환경작목반(상추 외 45종), 청보(상추 외 35종) 등 19개 단체이다. 조 시장은 자연채 상표에 대한 자긍심을 갖고 전국 최고의 친환경 명품 브랜드로 거듭날 수 있도록 새로운 생산기술 연구와 엄격한 품질관리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광주에서 생산되는 우수 생산품에 사용 할 수 있는 공동브랜드 자연채의 사용승인을 위해 시는 지난 23일 광주시 상표관리위원회를 개최해 엄격한 심사를 통해 기간연장 19개 생산자 단체에 대해 상표의 사용을 승인했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광주시, ‘오존경보제’ 추진

광주시는 오존오염도 추이를 모니터링해 대기중 오존농도가 높아지면 신속하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오존경보제를 추진한다. 시는 경기도를 비롯, 보건환경연구원, 31개 시군과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해 오존주의보 등 발령사항에 오는 9월 15일까지 상황근무 및 권역별 오존농도를 감시할 계획이라고 28일 밝혔다. 오존은 태양으로부터 자외선을 차단해주는 역할도 하지만 오염도가 심할 경우 호흡기나 눈에 자극을 주며, 심할 경우 폐 기능 저하를 가져오는 등 인체에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시민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오존발령 알림 문자서비스를 희망하는 시민은 경기도대기오염정보센터 [http://gg.go.kr] 또는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http://gihe.gg.go.kr] 홈페이지에서 간단한 가입절차를 통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오존 등 종합적인 실시간 대기오염도 정보도 제공된다. 광주시는 오존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물질인 이산화질소와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저감을 위해 자동차 배출가스 노상점검 강화 및 대형대기배출업소 점검강화 등을 통해 오존농도 저감을 유도할 계획이다. 시는 보육시설, 노인 및 장애인 요양시설 등 취약시설에 SMS 문자서비스 가입을 홍보하고 있다. 시관계자는 오존 발령시에는 호흡기환자, 노약자, 유아 등은 실외활동이나 과격한 운동을 자제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해 줄 것.을 당부했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