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관내 11개 초등학교 6학년 대상 어린이 세무교실 운영

광주시는 관내 11개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어린이 세무교실을 운영한다. 5일 번천초등학교를 시작으로 관내 초등학교 6학년 975여명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어린이 세무교실은 다음 달 17일 까지 이어지며, 어린이 세무교실은 세금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중요성을 인식시켜 미래의 성실납세자 양성 및 성실납세 풍토를 조성하기 위해 진행된다. 이번 교육은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제작된 세정이와 함께 떠나는 세금 여행이라는 주제의 플래시 애니메이션을 통해 지방세의 종류 및 용도, 납부시기, 위택스(wetax)를 이용한 편리한 지방세 납부방법 등을 두루 소개한다. 특히, 이번 교육은 정신희 세정과장과 팀장등 실무자들이 직접 이번 교육 진행에 나서 아이들의 이해를 돕고, 애니메이션 시청 후에 지방세 퀴즈 맞추기 진행을 통해 세무교실 운영 효과를 높이고 있다. 한편, 어린이 세무교실은 지난 2009년부터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6개학교 1천100여명에게 교육을 실시한 바 있다. 시관계자는 교육종료 후에도 광주시 홈페이지를 통해 세정이와 함께 떠나는 세금여행을 제공, 모든 초등학교에서 교육용으로 언제 어디서나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광주시, ‘2020년 광주 공원녹지기본계획’ 열람기간 운영

광주시는 3일 2020년 광주 공원녹지기본계획을 수립ㆍ공고하고 다음달 2일까지 열람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공원녹지기본계획은 2005년 개정된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10년 단위로 공원녹지의 확충보전관리 이용방향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는 법정계획이다. 광주시는 행정구역 430.96㎢를 대상으로 2020년까지 인구 3십6만8천명의 광주시가 이루어나갈 공원녹지의 비젼과 청사진을 담은 기본계획을 수립해 최근 경기도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기본계획은 2020년까지 무갑산, 태화산, 팔당호 경안천, 곤지암천을 중심으로 도시공원과 연계해 개발축과 상생하는 보전축을 설정했다. 4개의 중생활권(경안, 곤지암, 오포, 퇴촌)과 14개의 소생활권으로 나누어 도시공원 165개소 4백3십9만3천㎡ 및 도시자연공원구역 1개소 7십8만8천㎡ 등 도심 내 공원녹지 공간 확충을 기본구상으로 하고 있다. 한편, 시는 이밖에도 미집행 도시공원에 대한 대책 수립과 도시자연공원구역지정, 녹지정비 계획을 통해 불합리한 녹지에 대한 해제계획, 훼손지 녹지 복원계획, 가로수, 녹도, 생태통로계획, 특화경관도로의 계획 등 다양한 사업 추진으로 도심 내 녹지 확충 및 시민 삶의 질 제공에 기여할 계획이다. 공원녹지 기본계획은 공원개발과에서 열람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사항은 공원개발과(760-3763)로 문의하면 된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팔당 상류주민 “물이용부담금 요율 인하 철회하라” 한강유역청서 항의 집회

한강수계관리위원회의 2014년 물이용부담금 요율 인하를 놓고 논란(본보 3일자 10면)이 일고 있는 가운데 팔당댐 상류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특별대책지역 수질보전정책협의회 주민대표단(이하 특수협)이 5일 물이용부담금 납부 정지 및 요율 인하 논의에 대한 항의 집회를 했다. 특수협 회원 100여명은 이날 오후 한강수계관리위원회 실무위원회(이하 수계위) 회의가 열리는 한강유역청 정문 앞에서 집회를 열고 물이용 부담금 납입정지 및 물이용 부담금 요율인하를 즉각 철회 하라고 촉구했다. 특수협은 서울시와 인천시의 행태는 1998년 수계기금 사용에 대한 합의 정신을 무시하고 상하류 지역 상생원칙을 파괴하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물이용 부담금으로 조성한 수계기금 거부,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의무 시행 거부 등으로 대응하고 대규모 집회를 열어 중복 규제 철폐운동을 전개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팔당댐 상류 경기도 11개 시군 주민들은 각종 규제를 받는 대신 한강수계관리기금을 받아 주민 복지사업과 환경기초시설 설치운영비로 쓰고 있다. 그러나 지난 4월부터 서울시와 인천시가 물이용 부담금 부과율에 문제를 제기하며 납부를 거부해 논란을 빚고 있다. 한편, 이날 오후 2시에 시작한 실무위원회는 4시간의 릴레이 회의 끝에 물이용 부담금 요율 인하 안건은 상위 위원회인 한강수계위원회에서 직접 다루기로 결론 지었으며 물이용 부담금 요율 인하와 관련, 서울과 인천은 찬성한 반면 경기와 강원, 충청은 반대했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