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인의 얼굴은 시대에 따라 변한다고 한다. 관상학자들의 ‘여성 얼굴론’에 따르면 왕조의 초창기엔 턱과 얼굴이 큰 여성이 미인으로 대우받았다. 이 시기엔 진취적인 분위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어른스럽고 남성적인 미인형, 즉 턱과 얼굴이 큰 미인을 선호했다. 안정기엔 보통 크기의 턱과 얼굴의 여성이 미인으로 꼽혔다. 퇴폐조짐이 보이는 말기에 이르면 턱과 얼굴이 작은 여성이 미인으로 대접받았다. 말기엔 외형적이고 감각적인 미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화가 중 조선 후기 풍속화가인 혜원 신윤복 (蕙園 申潤福·1758~1813 이후)의 ‘미인도’(19세기 초, 114X45㎝, 간송미술관 소장)는 조선 시대뿐만 아니라 우리 역사를 통틀어 최고의 미인도로 꼽히는 걸작이다. 이 ‘미인도’는 아름답고 고혹적이다. 여인의 자태는 곱고 여리다. 가녀린 어깨선과 풍만하게 부풀어 오른 치마, 치마 밑으로 살짝 나온 왼쪽의 버선발이 전체적으로 멋진 조화를 이루고 있다. 얼굴도 아름답다. 단정하고 깔끔하게 빗은 트레머리, 작고 반듯한 코에 앵두 같은 입술, 무언가 아련함이 뚝뚝 묻어나는 뽀얀 얼굴, 그리움이 가득해 애처로운 눈빛이 남성들의 가슴을 설레게 한다. 보면 볼수록 찬탄을 금할 수 없다. 그래서 조선 시대 기녀 초상화(미인도)의 최고 명품 또는 조선 시대 여성미의 극치로 평가받는다. 눈여겨 볼 것은 노리개와 옷고름을 만지작거리는 여인의 손이다. 신윤복이 아니고서야 그 진실을 제대로 알 수 없지만 보는 사람 마다 시각이 다르다. 노리개를 푸는 모습, 노리개를 여미는 모습, 저고리 고름의 나비 매듭을 푼 뒤 마지막 매듭을 풀어 내리는 모습, 노리개를 옷고름에 매어 늘어뜨리는 모습이라는 등 한 작품을 놓고 느끼는 생각이 각양각색이다. 신윤복의 ‘미인도’에 나타난 얼굴처럼 아담한 얼굴에 작은 아래턱, 다소곳한 콧날과 좁고 긴 코, 약간 통통한 뺨과 작고 좁은 입, 흐리고 가느다란 실눈썹에 쌍꺼풀 없이 가는 눈, 어리고 정적인 얼굴을 한국의 전통 미인상으로 보는 사람들이 많다. 이러한 얼굴은 조선 후기의 미인형으로 보아야 하겠지만 미인은 보는 이의 마음에 달렸다. 무릇 ‘꽃처럼’이 아니라 ‘꽃보다 아름다운 모습’이 여성의 얼굴이다. / 임병호 논설위원
오피니언
경기일보
2006-04-2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