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대한민국에는 각종 복지 수당이 난립하고 있다. 아동 수당, 청년 수당, 노인 수당, 장애인 수당, 참전유공자 수당, 퇴직 수당 등 수당의 종류만도 헤아리기조차 쉽지 않다. 이런 ‘주먹구구식’ 복지 수당은 과연 누구의 머리에서 나오는 것일까. 일반적으로 수당은 기준 외 보수로서 기본급을 보완해 주는 부가급(附加給)을 말한다. 다시 해석하면 기본적으로 노동을 하면서 부수적으로 지급되는 급여가 수당인 것이다. 그런데 최근 나오는 수당은 사회적 약자를 배려한다는 미명 아래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규모를 고려하지 않고 정부와 자치단체장들이 앞다투어 특정 계층을 위한 복지 수당 정책을 내놓고 있다. 과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언제까지 이들의 문제를 수당으로 해결할 수 있을까. 미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빈민층을 돕는 것이 개인의 자선이나 지방 정부의 일이었다. 하지만 1920년대 대공황으로 대규모 실직자가 발생하면서 노동 인구의 임금에서 차감한 자금으로 운영되는 사회 보장 제도가 마련됐다. 실업 보험, 장애 보험, 기타 지원 등을 제공했다. 이를 시작으로 미국에서도 의료 보장, 식량 배급, 저소득층에 매월 일정 금액을 지원하는 복지 수당 등의 지원프로그램이 생겨났다. 이처럼 복지 시스템이 넘쳐나자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비판의 대상이 되면서 제도 자체가 선거의 쟁점이 되기도 했다. 1992년 대선 캠페인 당시 주지사였던 빌 클린턴은 “우리가 알고 있는 복지는 없애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사회 복지 프로그램은 빈곤층의 의존도를 높일 뿐이라는 비난은 1996년 일부 연방 프로그램의 재편으로 이어졌다. 이제는 생각나는 대로 아무나 툭툭 던지는 복지 수당은 사회적 약자들의 정부 의존도를 높이고 재정 파탄으로 몰고 갈 것이 자명하다. 사회적 약자의 사회안전보장과 고용제도 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면 빈곤층을 지탱할 사회안전망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아동 수당, 청년 수당, 노인 수당을 없애자는 얘기가 아니다. 사회적 약자, 빈곤층이 최소한의 삶을 지탱할 수 있는 체계적인 통합 복지 지원 시스템 마련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점이다. 최원재 정치부차장
오피니언
최원재 정치부차장
2017-09-07 2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