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 바이올리니스트 유에스더 양 “지친 사람들에 힐링 선물하는 음악가 될래요”

“여러 사람에 힐링을 선물하는 음악가가 되겠습니다” 팝 바이올리니스트 유 에스더양(광명 하일초교 5년)은 바이올린 연주가 필요한 것이면 어디든 찾아가 자신의 재능을 발휘하고 싶다고 밝혔다. 유양의 이름은 성경인물에 나오는 ‘별’이라는 의미로 이름 그대로 많은 이들에게 음악을 통해 별처럼 세상을 빚추겠다는 남다른 각오를 품고 있다. 5세 때 피아노를 처음 접한 유양은 일찍이 남다른 음악적 재능을 보였고 초등학교 2학년부터 부전공으로 택한 바이올린은 그를 본격적으로 음악 세계에 발을 들이게 되는 계기가 됐다. 하지만 지금의 유양을 만든 것은 재능있는 교수나 특별한 교육이 아닌 유양의 열정과 부모의 진심어린 응원이었다. 초등학교 2학년 당시 1년 동안 바이올린의 기초를 교육받은 유양은 현재까지 하루 5시간 이상 독학으로 연주 실력을 갈고 닦고 있으며 자신의 연주가 필요한 수많은 지역사회 공연행사를 방문,그 경험을 자양분 삼아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가 되기 위해 노력 중이다. 또한 유양의 어머니는 경제적 여건으로 풍족한 지원을 해줄 수는 없지만 투병 속에서도 유양의 둘도 없는 친구(?) 같은 사이로 유양의 폭넓은 음악활동 경험과 발전을 위해 전국을 함께 돌아다니며 자신의 삶을 바치고 있다. 유양은 “부모님의 헌신과 지원이 없었다면 이처럼 활동을 지속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라며 “부모님이야말로 내 음악 인생에 없어서는 안 될 멘토이자 든든한 지원군”이라고 밝혔다. 지난 2009년부터 각종 대회와 행사에 참가하며 자신의 이름을 알린 유양은 올해 KBS 전국노래자랑(광명시편)에서 입상했으며 특히 지난 4월 SBS 놀라운 대회 스타킹에 출연해 수많은 시청자들에게 신들린(?) 연주를 선보이며 제대로 눈도장을 찍었다. 또한 병원과 노인회관 등 그를 필요한 여러 기관 단체를 수시로 방문하며 재능기부 활동까지 활동의 폭을 넓히며 자신의 재능을 마음껏 발휘하고 있다. 유양은 “어린 나이에 하고 싶은 것도 많지만 바이올린을 연주할 때가 가장 행복하다”며 “언젠가는 세계적인 팝바이올리니스트가 되어 국위선양하고 무엇보다 마음과 육체적으로 힘든 시기를 보내는 사람들을 위로하는 멋진 음악가가 되고 싶다”는 당찬 포부를 밝혔다. 안양=양휘모기자

안양시, 예산난 이유로 ‘금형산업 육성’ 외면

안양시가 예산난을 이유로 경기도가 금형기업의 제조혁신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유도하기 위해 추진 중인 ‘IT 융합공정혁신 지원’ 사업을 외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경기도와 안양시 등에 따르면 도는 지난 2013년부터 ‘경기도 뿌리산업 진흥 및 육성에 관한 조례’를 시행하며 도내 금형업체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IT 융합공정혁신 지원 사업을 추진 중이다. 도는 도내 우수한 생산공정관리 솔루션 기술을 보유한 기업을 발굴해 해당 기술 도입을 원하는 금형업체에 도와 기초지자체가 매칭사업(50대 50)을 통해 기술 도입에 필요한 소요비용을 지원하고 있다. 안산시의 경우 도가 추진하고 있는 해당 사업에 참여해 11개의 기업이 도와 지자체의 보조를 통해 각 기업 당 1천500만원의 지원을 받아 금형산업 발전의 발판을 마련했다. 시흥시도 10개의 금형업체가 제조혁신을 도모할 수 있는 기술을 보급받았으며, 부천시 역시 지난해부터 예산을 편성해 현재까지 9개의 업체가 뿌리산업 지원에 대한 혜택을 누렸다. 이밖에 군포시와 화성시도 관내 금형업체에 우수한 생산공정관리 기술을 보급하기 위해 IT 융합공정혁신 지원 사업 참여에 필요한 내년도 신규 예산 편성을 마친 상태다. 그러나 안양시는 타 지자체와는 달리 해당 사업에 참여하지 않고 있어 관내 110여개에 달하는 소규모 금형 업체들이 IT융합공정혁신 지원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A금형업체 관계자는 “타 시ㆍ군의 경우 금형산업을 특화산업으로 키울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기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이뤄지고 있는 반면 안양시 소재 업체들은 이같은 혜택을 전혀 누릴 수 없다”며 “타 지역으로 공장 이전이라도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푸념했다. 이에 대해 안양시 관계자는 “가용재원이 한정된 상황에서 현재 도가 추진하는 해당 사업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며 “하지만 기술닥터사업 등을 통해 금형업체에 대한 지원을 자체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안양=한상근양휘모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