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말은 꽃의 특징이나 꽃색, 향기, 모양 등에 따라 생겨난 말로, 동양이나 서양 또는 나라, 지역에 따라서도 서로 상이한 경우가 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예로부터 꽃에 대한 전설이나 신화가 있어왔고 문학작품이나 고사내력, 일화 같은 것에 의해서도 꽃말이 생겨났다. 꽃말의 대부분은 서양의 중세 때 기사가 사랑하는 여인에게 꽃을 보내어 말 없는 뜻이나 감정을 전하는 풍속을 만든 것과 종교적인 상징으로 생겨난 것이 대부분이다. 같은 꽃에 대해서도 영국과 프랑스에서는 다소 다른 경우가 있는데 그 예로 사과는 영국에서는 유혹(이브가 에덴동산의 사과를 먹은 사실을 뜻함)의 의미이나, 프랑스에서는 가장 아름다운 사람에게 라는 의미로 그리이스 신화의 헤라,아테네,아프로디테의 삼여신 앞에 내던져진 황금의 사과를 뜻한다. 꽃의 빛깔에 따라서도 각각 다른 꽃말이 생겨나는데 노랑은 로마시대까지 애호되고 존중되는 색이었으나 그리스도교의 발흥에 따라 교파의 분쟁 속에서 구종교에 속하는 자를 축출하기 위해 이제까지 존중되어 왔던 노란색에 대한 동경을 가장 천한 것으로 비하하고 대신 파랑을 최고의 영예 있는 색으로 삼았다. 그래서 서양에서는 노랑을 불길한 색으로 보고 황혼,퇴폐,질병,죽음,질투 등을 연상하게 하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됐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노랑은 귀중한 색으로 숭배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황금빛깔의 복수초가 장수와 행복의 상징으로 됐다. 또 다른 예로 빨강은 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는 기쁨의 색깔이지만 인도에서는 노여움의 의미로 통한다. 이렇게 꽃말은 그 특징이나 색깔 등에 따라 그 나라의 역사적 환경으로 인해 나라마다 서로 상이한 경우가 많지만 5월에 기억할 만한 꽃말이 있다. 붉은 카네이션의 꽃말은 건강을 비는 사랑과 존경이다. 붉은 장미는 열정적인 사랑, 열정과 기쁨을 뜻한다. 노란색 민들레는 행복의 의미를 지니고, 노란색 개나리 꽃말은 희망이다. 이선호 문화부장
오피니언
이선호 문화부장
2014-05-14 2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