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프고 불행한 감정이 우울(憂鬱)이다. 이러한 감정이 깊어지면 우울증 증세가 나타난다. 지난해 우울증 환자가 50만8천명으로 2005년 43만5천명에서 16.8%나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40세 이상 중년과 고령층에서 많이 나타났고, 여성이 남성보다 2.2배 많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우울증에 대한 심사 결정자료를 분석한 결과다.우울증의 원인은 신경세포 내 자극을 전달하는 물질인 노르아드레날린, 도파민, 세로토닌과 같은 신경전달 물질의 감소와 관련돼 있다고 한다. 유전적 요인, 분노, 내향성, 의존적 성격, 지속적인 열등감, 억압된 적개심, 죄책감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으며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우울증의 공통 증상은 우울한 기분과 흥미의욕 상실, 피로감, 수면장애, 식욕부진, 자신감 상실, 허무감 등이다. 우울증은 학업이나 직장 업무, 주부 역할 등 개인의 사회적 역할을 심각하게 방해한다는 점에서 고통스러운 질병 중 하나다. 직장 일도 대충 대충 하고 무기력과 피로 등으로 활동 시간보다 누워 있는 시간이 더 많아지기도 한다.우울증은 의사가 직접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심리검사 등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내려야 적절한 치료법을 찾을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검진을 해도 아무런 신체적 이상이 없다는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한 개인의 사회적 존재감을 파괴한다는 점에서 또는 검진을 해도 알아내지 못한다는 경우도 있어 우울증은 암보다 심각한 질병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한림대의료원 산하 5개 병원 정신과 외래 환자 6만2천232명을 분석한 결과 우울증이 23.4%, 1만4천536명이나 된다. 우울증 환자 중 10%가 자살로 삶을 마감한다니 무서운 중증질환이다. 얼마 전 지방에 내려가 있을 때 핸드폰에 문자 메시지가 도착했는데 내용이 ○○○씨 사망이었다. 무심코 ○○○씨 부모 중 한 분이 타계하셨구나 생각하고 장례 후 조의금을 드려야겠다고 마음먹었는데 나중에 ○○○씨 본인이 우울증으로 자살했음을 알았다. 남편과 아들을 두고 직장생활을 하던 그가 도대체 무슨 고민이 있어 우울증을 앓았는지 모르지만 참으로 허무했다. 가을에 느끼는 이런 감정도 혹 우울증이 아닌지 모르겠다. 임병호 논설위원
오피니언
임병호 논설위원
2010-10-14 2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