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천, 환경부 주관 생태하천복원워크숍에서 최우수 사례 선정 쾌거

안양시는 지난 18일 경북 경주 현대호텔에서 개최된 생태하천복원워크숍에서 관할 하천인 안양천이 생태하천복원 최우수 사례에 선정돼 장관표창과 시상금 1천만 원을 수상했다고 20일 밝혔다. 환경부 주관으로 개최된 이번 워크숍에서는 시가 준비한 ppt 자료로 안양천이 생태하천으로 재탄생하기까지 10년 넘는 수질개선 노력을 브리핑해, 참석한 공무원과 환경 관련 단체들로부터 공감을 불러 모았다. 시는 지난 2001년 10개년 종합계획을 수립, 하수처리장 건립, 하수처리수 재이용, 자연형하천 조성 등에 집중하고 시민과 같이 안양천살리기 사업을 이어가는 등 수질향상은 물론, 관련한 시민참여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 결과, 2000년 당시 안양천 수질은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인 BOD가 30mg/ℓ로 매우나쁨 수준인 6등급이었으나 2013년도에 3등급으로 올라섰다. 수질이 향상되다 보니 어류, 조류, 식생, 양서파충류 등의 생물도 늘어나고 종류도 다양해 졌다. 이중에서도 어류는 99년 이전 9종에 불과했지만 최근에는 27종으로 증가했다. 또 맑은 물에서만 산다는 버들치, 돌고기, 붕어, 얼룩동사리 등이 주요 어종을 이루고 있다. 이필운 시장은 “이번 쾌거는 민ㆍ관이 한마음 한뜻을 이뤄 꾸준히 노력해온 결과”라며 “제2의 안양부흥 핵심사업인 ‘안양천명소화’사업도 잘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달 초 전국 16개 하천을 대상으로 한 생태하천복원 우수사례 경연 최종평가에서도 안양천은 ▲수질 개선 및 수생태복원 ▲체험교육 프로그램 ▲지역주민참여 등 3개 분야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부여받아 최우수 하천으로 선정된 바 있다.

안양농수산물도매시장 내 도매법인, 출하대금 30억 미결제 등 경영 악화 심각

안양농수산물도매시장 내 입점 중인 도매법인들이 출하인들에게 지급해야 할 출하대금 수십억 원이 미결제되거나 조례가 규정한 최저거래금액도 충족시키지 못하는 등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16일 안양농수산물도매시장 등에 따르면 도매시장 내 ㈜태원 , 안양청과㈜ , 안양원예농협 , 안양평촌수산㈜ 등 4개 도매법인이 입점, 영업하고 있다.이런 가운데 일부 도매법인들이 출하대금 미결제 금액이 30여억 원에 달하면서 피해 출하자들이 늘고 있다. ㈜태원은 지난 2014년 7월 법인 재지정을 받은 이후 현재(올해 10월 기준)까지 출하대금 미결제가 29억5천600여만 원(134건)에 이르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피해 출하자들은 시를 상대로 집단 소송 준비에 들어갈 것으로 보여 법적 공방도 예고되고 있다.이 법인은 시에 납부해야 시장사용료를 포함한 과징금 , 공과금 등 체납액도 52건에 5억5천200여만 원에 이른다. 안양청과㈜는 거래실적이 조례가 명시한 최저거래금액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안양시 농수산물도매시장운영ㆍ관리 조례는 도매시장법인 청과부류의 월간 최저거래금액은 25억 원을 충족시켜야 한다. 그러나 지난 5월부터 경매 없이 정가ㆍ수의 매매방법으로 거래를 하고 있는 가운데, 최저거래금액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거래실적을 보이고 있다. 거래실적은 지난 6월 1억6천500여만 원, 지난 7월 2천300여만 원, 지난 8월 1억600여만 원 , 지난 9월 12억3천900여만 원 등을 기록하다 지난달 500여만 원에 그쳤다.이에 안양농수산물도매시장 관계자는 “연말까지 추가 투자금을 확보, 부진한 경영 실적에 대한 개선대책 마련을 계획하고 있다”며 “앞으로는 기본적인 운영자금 확보가 이뤄지도록 경영 정상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