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 보금자리 개발 농로개설 마찰음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시흥시 장곡ㆍ장현동 일대에서 보금자리 택지를 개발하면서 지구에 편입되지 않은 토지주들의 농로개설 요구를 개발제한구역의 무분별한 훼손과 난개발, 당초에 도로가 없었다는 이유 등으로 묵인하고 있어 마찰을 빚고 있다. 14일 LH광명시흥사업소, 시흥시, 토지주 등에 따르면 LH는 지난 2006년 7월 장곡동과 장현동 일대 293만㎡를 1만6천743세대 4만7천여 명을 수용하는 보금자리 지구로 지정, 오는 2018년 완공 목표로 현재 토목공사를 진행중이다. 이 과정에서 LH는 사업구간에 편입되지 않은 토지에 대한 진입로를 개설하지 않은 채 공사를 진행, 토지주들이 진입로 개설을 요구하고 있다. 토지주들은 올해 토목공사가 진행되면서 사업구간을 통해 농지 출입이 안돼 농지를 버려둬야 하는 지경까지 이르렀지만, LH측은 농로개설 요구에 대해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농민 김정서씨는 장현동 494-4번지 2천810㎡의 농지에서 농사를 지어오다가 장현택지개발지구로 편입되면서 지난 2009년 2천34㎡에 대한 보상을 받고 잔여지 776㎡는 농사를 지으려 했지만 지난해 본격적인 토목공사가 시작되면서 진입로가 막혀 2년동안 농사를 짓지 못하고 있다. 김씨는 “개발되기 이전에는 농로를 통해 대부분의 농민들이 농사를 지어 온 것이 상식인데도 LH는 수차례의 농로개설 요구를 묵인하고 있다”며 “택지개발로 농로가 사라진 만큼 최소한 통행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인근 500-1,2,3번지 등 권씨, 신씨 문중의 임야와 농지도 사정은 마찬가지여서 농로개설 민원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LH 광명시흥사업소 관계자는 “당초 지적부 상에서부터 농로가 없었고 농로를 개설할 경우 산림 등의 무분별한 훼손이 불가피하다”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농로개설은 불가하다”고 밝혔다. 시흥=이성남기자

“서울대 시흥캠퍼스 속히 착공을” 시민연대, 서울대에 성명서 전달

서울대 시흥캠퍼스 실시협약체결촉구시흥시민연대(공동대표 류호경·박식순·한상국 등 6명)는 지난 8일 서울대학교를 방문해 유근배 서울대 기획부총장에게 시민들로부터 받은 서명부와 함께 성명서를 전달했다고 9일 밝혔다. 시민연대는 성명서를 통해 2009년 6월 최초 양해각서를 체결한 이후, 6년여를 끌어온 서울대 시흥캠퍼스 설립의 마지막 절차인 실시협약을 지난해 11월까지 체결키로 하고도 3차례에 걸쳐 미루고 있는 이유를 밝힐 것과 조속한 실시협약 체결하기를 촉구했다.또 기숙형 대학 RC설립 약속, 서울대병원 설립 약속 이행, 시흥시민과 상생할 수 있는 협약 체결의 4개항의 요구사항도 전달했다. 시흥시민연대 대표단은 이 자리에서 유근배 기획부총장에게 인터넷과 거리에서 시민들로부터 받은 5천600여명의 서명부도 함께 전달했다. 이에 유근배 기획부총장은 “국제기숙사 어학당 계획은 아이디어 차원의 계획이며 아직 확정된 콘텐츠는 없다”면서 “시흥시에 필요한 시설, 시화공단과 상생할 수 있는 시설 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박식순 공동대표는 “‘유 부총장이 내부 의사결정 지연으로 인해 실시협약이 지연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 유감을 표했으며 ‘내년 상반기까지는 어떤 방식으로든 시흥캠퍼스를 착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전했다. 앞서 시흥시와 서울대는 지난해 11월 실시협약을 체결하기로 했으나 서울대의 일방적인 연기로 인해 현까지 미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서울대 시흥캠퍼스 실시협약체결촉구 시흥시민연대는 지난달 26일부터 길거리 서명운동과 함께 온라인 서명운동을 받고 있다. 시흥=이성남기자

예결특위 위원장 선출 갈등 시흥시의회 예산 심의 파행

시흥시의회가 내년도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선출을 놓고 여야간 의견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예정됐던 부서별 예산심의가 이뤄지지 못한 채 파행을 겪고 있다. 시의회는 8일 내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ㆍ세출 사업예산안에 대한 심의를 위해 새누리당 몫의 위원장과 새정치민주연합 몫의 부위원장을 선출한 뒤 보건소, 시민소통담당관 등 각 부서에 대한 예산안을 심의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새누리당이 추천한 홍원상 의원에 대해 새정치 측이 반대하면서 갈등이 불거졌다. 새정치 측은 홍 의원이 그동안 각종 위원회의 위원장 등을 4번이나 지냈는데 또다시 예결위원장을 맡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면서 초선인 새누리당 김찬심 의원이 위원장을 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위원장 교체요구에 대해 일각에서는 홍 의원이 상임위 예산심의 과정에서 소전미술관 진입로와 사회적경제지원센터 등에 대한 예산 삭감을 주장했던 점 등을 새정치 측이 염두에 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홍 의원은 “추경예산안 심의때 위원장을 맡은 경우는 있지만, 1년 예산을 다루는 예결위원장을 맡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면서 “당내에서 협의가 이뤄진 상태에서 자신들의 입맛대로 예산을 쥐락펴락하는 것을 방치하진 않겠다”며 위원장을 포기할 생각이 없음을 강하게 내비쳤다. 한편 의원들은 오후 6시 현재, 뚜렷한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각자 자신의 사무실에서 대기하거나 삼삼오오 모여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시흥=이성남기자

시의회, 시흥아카데미 예산 전액삭감

시흥시의회가 내년도 예산안을 심의하면서 지난 2012년부터 시민을 대상으로 양봉학교, 백년정원학교, 백세건강학교 등 36개 강좌 1천여명의 수강생을 배출한 시흥아카데미 예산 9천만원 전액을 삭감해 논란을 빚고 있다. 7일 시흥시와 시의회에 따르면 지난 1일 자치행정위원회는 시민소통담당관 소관 예산안을 심의하면서 기타보상금 6천만원, 시흥아카데미 사무관리비 2천만원, 시흥아카데미 행사운영비 1천만원 등 모두 9천만원의 예산안에 대해 전액 삭감했다. 이로 인해 현재 운영되고 있는 허준약초학교 2기(48명)가 내년 1월부터 중단될 전망이다. 시는 지난 2012년 스웨덴학교 41명의 수강생을 시작으로 백년정원학교, 백세건강학교 등 36개 강좌를 운영해 1천37명의 시민이 수강했다. 특히, 양봉학교는 유튜브에서 강의 시간대별로 5천여회를 육박하는 조회기록을 보여 인기를 끌고 있으며, 배곧숲학교는 가지와 전지 등 강좌별로 3천여회, 강좌개설 1개월에 불과한 허준약초학교의 경우, 3천여회를 넘어서는 등 전국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이복희 의원은 “시민소통담당관에서 시흥아카데미를 운영하는 것은 맞지 않다. ABC평생교육원에서 운영해야 한다”면서 “예산을 전액 삭감한 후, 업무를 이관한 후 추경에서 예산을 세우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시는 “당초 목적을 갖고 아카데미를 운영해 왔는데 갑자기 타부서로 옮길 경우, 일반 행사수준에 머물 수 있어 시 전반에서 활동할 수 있는 인력양성이란 당초 취지목적이 퇴색될 수 있다”면서도 “점진적으로는 타부서로의 이관이 고려돼야 한다”고 말했다. 시흥=이성남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